[Python Data Analysis]22.DataFrame 계층적 인덱싱 이해하기
in Development on DataAnalysis
DataFrame 계층적 인덱싱 이해하기
계층적 인덱싱
계층적인 정보를 인덱스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Series 혹은 DataFrame에서 ‘계층적 인덱싱(hierarchical indexing)’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Series의 계층적 인덱싱
s = pd.s Series(np.random.randn(10),
index=[["a", "a", "a", "b", "b", "b", "c", "c", "d", "d"],
[1, 2, 3, 1, 2, 3, 1, 2, 2, 3]])
위와 같이 Series의 인덱스에 2차원 리스트 혹은 2차원 numpy array 등을 입력하게 되면, 두 층을 가지는 인덱스가 생성됩니다. s 인덱스의 맨 첫 번째 층에 ‘a’부터 ‘d’까지, 이들 각각에 대하여 정수 인덱스가 두 번째 층에 부여되어 있습니다.
계층적 인덱싱을 수행할 때의 원칙은, 항상 가장 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맨 바깥쪽 인덱스부터 차례대로 인덱싱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s["b"]
와 같이 첫 번째 층의 ‘b’ 인덱스를 명시하면, 해당 인덱스의 하위 층에 있는 1부터 3까지의 인덱스와 값을 Series 형태로 얻습니다. s["b":"c"]
와 같이 첫 번째 층에 범위 인덱싱을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s[("b", 3)]
을 실행하면 ‘b’ 인덱스 하위 층의 3 인덱스에 해당하는 값을 얻습니다. 또는, s[:, 2]
를 실행하면 모든 첫 번째 층의 인덱스에 대하여 하위 계층의 2 인덱스의 값들만으로 구성된 Series를 얻을 수 있습니다.
DataFrame의 계층적 인덱싱
df = pd.d DataFrame(np.arange(12).reshape((4, 3)),
index=[["a", "a", "b", "b"],
[1, 2, 1, 2]],
columns=[["Seoul", "Seoul", "Busan"],
["Green", "Red", "Green"]])
위와 같이 DataFrame의 인덱스와 컬럼에 2차원 리스트 혹은 2차원 numpy array 등을 입력하게 되면, 두 층을 가지는 인덱스 혹은 컬럼이 생성됩니다. 복수 개 층의 인덱스와 컬럼에 이름을 붙일 때는, 다음과 같이 맨 바깥쪽의 인덱스와 컬럼부터 순서대로 붙이면 됩니다.
dfd .index.names = ["key1", "key2"]
df.columns.names = ["city", "color"]
df["Seoul"]
을 실행하면 첫 번째 층의 컬럼이 “Seoul”인 데이터를 DataFrame의 형태로 얻습니다. 기존의 두 번째 층의 컬럼 중 “Seoul”의 하위에 있던 것들만이 새로운 DataFrame의 형태로 얻어집니다. df[("Seoul", "Green")]
을 실행하면, “Seoul” 컬럼 하위 층의 “Green” 컬럼에 해당하는 열을 Series 형태로 얻습니다. 해당 Series의 인덱스는 여전히 계층적인 형태임이 확인 가능합니다.
df.loc["a"]
을 실행하면 첫 번째 층 인덱스가 “a”인 데이터를 DataFrame의 형태로 얻으며, df.loc[("a", 1)]
을 실행하면 “a” 인덱스 하위 층의 1 인덱스에 해당하는 행을 Series 형태로 얻습니다. 이 때 해당 Series의 인덱스는 기존에 있던 계층적 컬럼이 들어왔습니다.
dfd .loc["b", ("Seoul", "Red")]
df.loc[("b", 2), "Busan"]
df.loc[("b", 1), ("Seoul", "Green")]
계층적 인덱스 기준 정렬
인덱스 기준 정렬은 계층적 인덱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여전히 가능합니다. df.sort_index()
함수에 level
이라는 인자를 명시하는데, 여기에 몇 번째 층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0부터 시작하는) 정수를 입력하면 그 층의 인덱스를 기준으로 DataFrame이 정렬됩니다.
df.sort_index(d axis=0, level=0)
df.sort_index(axis=0, level=1)
정수 인덱스로 명시하는 것이 번거롭다면, 원하는 인덱스 층의 이름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df.sort_index(d axis=0, level="key2")
axis=1
인자를 입력하면 컬럼에 대해서도 같은 작업이 가능합니다.
df.sort_index(d axis=1, level=0)
df.sort_index(axis=1, level=1)
df.sort_index(axis=1, level="color")
계층적 컬럼 상에서 값 기준 정렬의 경우,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df.sort_values(d by=("Busan", "Green"))
계층적 인덱스 상에서 통계 함수 적용
계층적 인덱스가 존재할 때 통계 함수를 적용하는 방식도 어느 정도 유사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인덱스에 대한 합을 계산하고 싶은 경우, df.sum()
함수에 level
이라는 인자를 추가로 명시하면 됩니다.
df.sum(d axis=0, level=0)
df.sum(axis=0, level=1)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원하는 인덱스 혹은 컬럼 층의 이름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df.mean(d axis=1, level="color")
DataFrame 내 컬럼-인덱스 간 변환
기존에 DataFrame에서 특정 열에 포함되어 있던 값을 계층적 인덱스로 변환하거나, 혹은 그 반대로 할 수 있습니다.
df2 = pd.DataFrame({d 'a': range(7), 'b': range(7, 0, -1),
'c': ['one', 'one', 'one', 'two', 'two', 'two', 'two'],
'd': [0, 1, 2, 0, 1, 2, 3]})
df2
DataFrame에서 ‘c’와 ‘d’ 열의 값을 계층적 인덱스로 변환하고자 할 경우, df.set_index()
함수를 사용합니다.
df3d = df2.set_index(["c", "d"])
만약 ‘c’열과 ‘d’열의 값을 인덱스에도 넣으면서 기존 열을 그대로 유지하고 싶다면, drop=False
인자를 추가하면 됩니다.
df2.set_index([d "c", "d"], drop=False)
현재 df3
에는 계층적 인덱스가 있는 상황인데, df3.reset_index()
를 실행하면 모든 인덱스를 컬럼으로 올리고 정수 인덱스로 대체합니다.
df3d .reset_index()
Reshaping DataFrame
새로운 DataFrame을 생성하고, 인덱스와 컬럼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df4 = pd.DataFrame(np.arange(d 6).reshape((2, 3)),
index=['Seoul', 'Busan'],
columns=['one', 'two', 'three'])
df4.index.name = "city"
df4.columns.name = "number"
이 때 df.stack()
함수를 사용하면, DataFrame 상의 최하위 컬럼이 현재 DataFrame의 최하위 인덱스로 붙습니다. 만약 컬럼이 한 층인 경우, 이를 최하위 인덱스로 붙이면서 Series 형태로 변화합니다.
df5d = df4.stack()
df.stack()
함수의 경우 df.set_index()
함수와 혼동될 수 있는데, 둘은 엄연히 작동 방식이 다르므로 각각을 실행했을 때의 결과의 차이를 확실히 구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df.set_index()
함수는 기존의 인덱스를 새로 대체하면서, 지정한 ‘열이 가질 수 있는 값’들이 인덱스가 됩니다. 반면 df.stack()
함수의 경우 현재 열들의 이름, 즉 ‘컬럼들 자체’가 현재 인덱스의 최하위 인덱스로 붙습니다.
df.unstack()
함수는 df.stack()
함수와 반대의 작용을 하며, DataFrame 상의 최하위 인덱스를 최하위 컬럼으로 올려보냅니다.
df5d .unstack()
만약 최하위 인덱스가 아니라 특정 층에 위치한 인덱스를 컬럼으로 올리고 싶은 경우, df.unstack()
함수에 level
인자의 값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이 level 인자의 경우 df.stack()
함수에도 명시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경우에도 level
인자에 인덱스 층의 이름을 직접 입력해줄 수도 있습니다.
df5.unstack(d level=0)
df5.unstack(level="city")
새로운 두 개의 Series를 생성한 뒤, 이들을 연결합니다.
s1s = pd.Series([0, 1, 2, 3], index=['a', 'b', 'c', 'd'])
s2 = pd.Series([4, 5, 6], index=['c', 'd', 'e'])
s3 = pd.concat([s1, s2], keys=["one", "two"])
s3
의 “one”, “two” 인덱스를 잘 보면 하위 층에 ‘c’와 ‘d’가 공통적으로 존재합니다. s3.unstack()
을 실행하면 최하위 인덱스가 컬럼으로 올라가는데, 겹치는 인덱스가 알아서 처리됩니다.
s3s .unstack()
인덱스와 컬럼이 좀 더 복잡하게 구성된 DataFrame을 살펴봅시다.
df6d = pd.DataFrame({"left": df5, "right": df5 + 5},
columns=["left", "right"])
df6.columns.name = "side"
df.unstack()
과 df.stack()
함수를 번갈아 사용하면서, DataFrame의 모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직접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df6.unstack(level=d "city")
df6.unstack(level="city").stack(level="side")